2022. 1. 30. 22:45ㆍ세상의 모든 정보/생활과학
안녕하세요 독자님들! 다들 명절에 고향으로 내려가시나요? 일반 도로를 지나가면 항상 보이는 신호등! 그런데, 신호등의 빨간불을 포함하여, 위험을 나타내는 신호들은 빨간색이 많다는 것을 보고,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도 한 번쯤 왜 안전하다는 신호를 표시하는 색깔은 초록색이고, 위험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빨간색인지에 대해 궁금증을 가져본 적이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위험을 알리는 신호가 왜 빨간색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에 대해 알기 위해선 먼저 <시각 세포>에 대해서 알아야합니다. '시각 세포'란 빛을 받아들여 사물을 볼 수 있게 하는 감각 세포를 의미하며, '시세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빛을 받아들이는 감각세포인 시각세포가 모여 우리 눈의 망막을 구성합니다. 망막은 원뿔세포와 간상세포로 구성됩니다. 원뿔세포는 색의 식별을 조절합니다. 약 700만 개가 존재하며, 망막 중심와에 가장 많습니다. 간상세포는 명암과 물체의 형태를 구분합니다. 약 1억 3080만 개 정도가 있으며, 망막의 주변부에 분포합니다.
사람의 원뿔세포에는 빨강, 초록, 파랑에 흡광 특성이 있는 세 종의 시색소가 있습니다. 빛은 빨강, 초록, 파랑으로 구성되며 이 세 가지 빛을 혼합하면 모든 빛깔을 만들 수 있습니다. 사람의 눈으로 구분할 수 있는 빛의 범위를 가시광선이라고 하며, 그 밖에는 적외선과 자외선이라고 부릅니다. 원뿔 세포에 일정한 색을 구분하지 못하면 부분 색맹, 모든 색을 구분하지 못하면 전색맹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왜 위험을 알리는 신호가 빨간색이 많은거죠?"
이에 대해 2가지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원뿔 세포에는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중 빨간색을 구별하는 세포가 가장 많기 때문입니다. (빨간색>초록색>파란색 순으로 많습니다.) 따라서 소화기나 위험을 나타내는 표지판 등에 빨간색이 많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또한 색깔에서 느끼는 감정도 이유가 됩니다. 여러분은 초록색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나요? 저는 위 사진처럼 편안하고 맑은 자연의 이미지가 떠오릅니다. 기업들도 제품을 만들 때 맑고 안전하다는 의미를 주고 싶은 경우, 초록색이나 흰색을 사용하곤 합니다.
반면, 빨간색은 불안하고 무서운 이미지가 떠오릅니다. 이것은 우리 세대만이 느끼는 것이 아닌, 아주 오래전부터 생각되어온 색깔의 이미지입니다. 붉은색은 피, 불, 화산 등이 떠오르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각 색은 고유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고, 빨간색을 사용했을 때 위험과 경고의 메시지가 잘 전달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오늘은 위험을 알리는 신호가 왜 빨간색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약하자면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었습니다. 첫 번째 이유, 망막의 원뿔 세포에 빨간색을 구별하는 세포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 빨간색이 가진 고유의 이미지가 있기 때문이다. 오늘 포스팅이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하트를 눌러주세요 :) 저는 다음에 더 좋은 글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추천하는 주제가 있으시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세상의 모든 정보 > 생활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색의 원리 [미용실에 숨어있는 화학반응 1편] (0) | 2022.01.31 |
---|---|
우성과 열성 : 유전학의 기본개념 [남자가 여자보다 색맹이 더 많은 이유] (0) | 2022.01.25 |
정전기가 일어나는 원인 : [OO의 이동 때문] (0) | 2022.01.24 |
[생활 속 과학] 과자봉지가 빵빵한 이유? (0) | 2022.01.23 |
항산화, 항암에는 무슨음식? 화이트푸드! [5가지 화이트푸드 알아보기] (0) | 2022.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