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성과 열성 : 유전학의 기본개념 [남자가 여자보다 색맹이 더 많은 이유]

2022. 1. 25. 23:59세상의 모든 정보/생활과학

반응형

대표이미지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오늘은 <우성과 열성, 열성과 우성>이란 주제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남성이 여성보다 색맹에 걸릴 사람의 수가 더 많은 이유를 아시나요? 오늘 포스팅을 끝까지 보신다면, 이에 대해 정확한 이해를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먼저 우성과 열성은 유전학에서 기본 개념인데요, 이에 대해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성과 열성은 '옳다', '그르다' 혹은 '좋다', '나쁘다'의 개념이 아닙니다.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한쪽에 6개 이상 존재하는 선천성 기형인 다지증도 우성 형질이며, 정상은 열성입니다. 이처럼 유전분야에서 말하는 우성과 열성이란, '우수하고 그렇지 않은 형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힘이 세고 약한 형질'을 의미합니다.

 

주근깨

주근깨는 햇빛에 노출된 부위의 피부에 주로 생기는 황갈색의 작은 색소성 반점을 의미합니다. 주근깨는 melanocortin-1-receptor이라는 유전자 변이와 관련되어 발생합니다. 주근깨가 있는 것이 우성 형질이며, 주근깨가 없는 것은 이에 대해 열성입니다. 

 

연골 무형성증

 

연골 무형성증은 연골의 뼈 형성 능력에 장애가 있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연골 무형성증은 우성 유전되거나 유전자 돌연변이로 생기게 됩니다. 연골 무형성증은 신생아 15,000~35,000명당 1명의 빈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골 무형성증의 가족적인 연관성이 보고되었는데, 상염색체의 우성으로 유전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혈액형

혈액형에도 우성인자와 열성인자가 구분됩니다. A형과 B형은 둘 다 O형에 대해 우성입니다. 이 때문에 AO형은 A형, BO는 B형이 됩니다. A형과 B형에는 우열이 없기 때문에 AB형은 그대로 AB형이 됩니다. 이 때문에 A형인 아버지와 B형인 어머니 사이의 자녀는 AB형, O형, A형, B형 모두 가능합니다. 아버지가 AO형, 어머니가 BO형이라면 자녀의 혈액형은 4가지 모두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색맹

원 안의 숫자들을 읽을 수 있나요? 제 눈에는 12와 9가 보입니다. 저처럼 색을 구별할 수 있는 분들은 우성 형질을 가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대로 숫자가 보이지 않았다면 열성 형질인 색맹을 의심해 보아야 하는데요, 색맹이란 색맹 또는 색각 이상은 시력의 이상으로 인해 색상을 정성적으로 구별하지 못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색맹의 유전자는 남녀의 성별을 결정하는 성염색체 중 X염색체에 의해 운반이 됩니다. XY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남성은 X 염색체가 한 개뿐이므로, X염색체에 색맹 유전자가 있다면 바로 색맹이 됩니다. 반면, 여성의 경우 XX염색체에서 두 염색체 모두에 색맹 유전자가 있어야 색맹이 됩니다. 그 이유는 색맹은 열성 유전 형질이기 때문입니다. 제1색각이상 혹은 제2색각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적록색맹은 대략 남성의 10퍼센트 정도에서 나타나는데 비하여 여성의 경우에는 1퍼센트 정도만 나타납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신 독자여러분 감사합니다 :) 우성과 열성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셨나요? 유전학이 재미있게 느껴집니다.

또한, 우성과 열성에 '우월'이나 '열등' 개념을 갖다 붙이는 생각은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독자 여러분들 모두들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