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26. 23:56ㆍ세상의 모든 정보/안전제일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 오늘은 사망률이 높은 위험한 감염병인 '페스트'에 대해 다뤄볼까 합니다. 여러분들은 '페스트'에 대해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아마 우리나라 사람들에겐 '페스트'란 말보다 '흑사병'이 더 익숙할 것 같습니다. 페스트가 유럽에 대유행하면서 '흑사병'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 페스트란 |
페스트는 설치류(다람쥐, 쥐 등)의 돌림병이며, 벼룩에 의해 동물 간 전염됩니다. 페스트는 증세가 격심하고, 전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검역전염병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환자가 재채기나 기침을 할 때 튀어나오는 병원균에 의해 감염이 되거나 벼룩에 물려 감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페스트의 잠복기는 2~5일이며, 오한, 40도 전후의 고열, 현기증, 구토 등을 유발합니다.
대표적인 페스트는 선페스트와 폐페스트가 있습니다. 페스트의 약 90퍼센트인 선페스트는 피부로 침입한 페스트균이 소속 림프절에 이르러 출혈성 화농성염증을 일으킵니다. 이후 패혈증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폐페스트는 가장 위험한 병형으로, 출혈성 기관지 폐렴을 일으키며, 다량의 혈성 장액성의 가래와 심각한 호흡곤란을 일으킵니다.
| 페스트의 역사 |
1347년 말 킵차크 부대에 의해 페스트가 전파되며 유럽은 수 년에 걸친 대규모 피해를 보게 됩니다. 1348년 말에는 로마, 제노바를 거쳐 파리까지 전파되었고, 1350년 이후에는 유럽 전역으로 전파되었습니다. 당시 이 병으로 인해서 유럽 인구는 20퍼센트로 줄어들었으며, 길고 길었던 백년전쟁이 중단되기도 하였습니다. 인구 손실로 인해 유럽의 경제 기반과, 사회 제도에 변화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또한 당시 죽음에 대한 공포가 증가하며 지나치게 미신에 의존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중세 시대 유럽의 흑사병이 발생한지 약 500년 후, 아시아에서도 페스트가 발병하였습니다. 페스트는 청나라 윈난 성에서 발원하여 중국을 휩쓸었고, 홍콩에 상륙했습니다. 당시 인도나 홍콩 등에 식민지를 보유하고 있었던 영국이 페스트로 인해 큰 피해를 입기도 하였습니다. 인도에서는 무려 천만명이 페스트에 의해 목숨을 잃었습니다.
| 전쟁의 무기로 사용될 수 있는 페스트 |
페스크와 같은 세균은 무기로 사용을 위해 연구되기도 합니다. 전쟁에서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활용해 전쟁의 무기로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이를 생물학전이라고 부릅니다. 폭탄, 음식물 등을 통해 살포합니다. 대량 살상의 위험이 크고, 윤리적 논쟁이 있기 때문에 국제법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많은 국가에서 연구를 구실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세균에는 페스트를 포함하여 장티푸스, 콜레라 등이 있으며, 바이러스에는 인플루엔자, 천연두, 뇌염 등이 있습니다.
| 페스트를 막기 위해서 |
현재 21세기에도 페스트 환자는 그 수가 매년 천 명이상이라는 발표가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예르생의 항독소 연구를 바탕으로 페스트 예방 백신을 만들어냈습니다. 페스트 유행지역에서 일하는 근로자, 농후한 균에 노출된 위험성이 높은 사람이 접종 대상이 됩니다. 페스트를 막기 위해서 쥐와 벼룩을 살충제로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예방 백신이 있더라도 전염력이 강한 폐페스트 등으로 인해 완전히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 마치며 |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페스트가 정말 무서운 질병인 것을 이해하고 사망률이 높기에 주의해야할 것 같습니다.
독자 여러분들 모두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오늘 글이 마음에 드셨다면 하트를 눌러주세요 :)
'세상의 모든 정보 > 안전제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임병은 어떤병? [저스틴비버도 진단 받은 라임병] (0) | 2022.01.28 |
---|---|
모기에게 옮기는 질병 TOP3 [+모기 퇴치법] (0) | 2022.01.27 |
설사의 원인이 되는 질병 [식중독, 비브리오패혈증,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0) | 2022.01.20 |
당뇨병 쉽게 이해하기 [당뇨병 발생원인, 증상] (0) | 2022.01.19 |
발가락 동창이 무엇인가요? [+응급처치 하는법/동상과 비교] (0) | 2022.01.18 |